파이썬의 Functions 을 사용하여, 나만의 함수를 만들어보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.
1. function (함수)의 정의
function (함수) 란, 적용하고자 하는 행동(기능)을 넣어놓고 그 기능을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.
2. function (함수)의 사용방법
function(함수) 는 조합이 가능하다. 2가지를 한번에 쓸수도 있다.
print(len(abcdefg)) 이런식으로.. (= a 부터 g 까지의 string길이를 출력해라)
function(함수) 는 type 변경도 가능하다.
3. function (함수)의 종류
4. degine(def) 사용하여 function (함수) 만들어보기
functions (함수) 를 내가 직접 만들어 볼 수도 있다.
파이썬에서는 이를, function을 define(정의) 한다고 한다.
function 을 define 하기 위해서는
def 를 입력해주고, 한칸 띄우고
function 이름을 입력하고
'()' 소괄호와 ':' 콜론을 입력하면 된다.
파이썬은 indentation(들여쓰기)로 function의 시작과 끝을 판단한다.
function의 body 안으로 넣으려면 들여쓰기를 무조건 해야 한다.
function의 기능들은 들여쓰기 후 입력해준다.
function의 이름 뒤에 '()' 를 추가하면, excute function 기능을 실행하라! 라는 뜻이 된다.
say_hello가 버튼이고 '()' 이건 버튼을 누른다고 생각하자!
function 이 가질 수 있는 arguments(인자)에 이름을 지어줄 수 있다. ('who' 부분)
argument(인자)를 넣어주면, function을 실행 할 때, 뭔가를 넣어줄 수 있다.
function 을 실행하게 되면, 그건 function의 body 로 전달 되어서 코드를 읽을 것이다.
만약, arguments(인자) 요소에 이름을 지어줬는데,
function을 실행하면서 인자 값에 아무것도 넣지 않으면, error 가 출력되면서 python에서는 바로 실행을 중지하게 된다.
이러한 경우를 피하기 위해서, 원한다면 default value 를 추가할 수도 있다.
ex) b 가 없다면, b에 1을 기본으로 줘야한다.